한국인 감정인식을 위한 복합 영상 소개
기본탭
데이터셋명 | 한국인 감정인식을 위한 복합 영상 | |||
---|---|---|---|---|
데이터 분야 | 비전 | 데이터 유형 | 이미지 | |
구축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데이터 관련 문의처 | 담당자명 | 박주용(한국과학기술원) |
가공기관 | 메트릭스리서치, 소리자바, 데이터헌트 | 전화번호 | 042-350-2924 | |
검수기관 | 메트릭스리서치, 소리자바, 데이터헌트 | 이메일 | juyongp@kaist.ac.kr | |
구축 데이터량 | 50만 | 구축년도 | 2020년 | |
버전 | 1.1 | 최종수정일자 | 2022.01.18 | |
소개 | 장면의 맥락 정보를 통한 감정 분석을 위한 얼굴 표정 이미지 데이터 | |||
주요 키워드 | 감정 분석, 표정 분석 | |||
저작권 및 이용정책 | 본 데이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지원하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으로 구축된 데이터입니다. [데이터 이용정책 상세보기] | |||
데이터설명서 | 자료보기 | 구축활용가이드 | 자료보기 | |
샘플데이터 | 다운로드 | 교육활용동영상 | 영상보기 | |
저작도구 | 다운로드 | AI모델 | 다운로드 |
데이터 변경이력
버전 | 일자 | 변경내용 | 비고 |
---|---|---|---|
1.1 | 2022.01.18 | 데이터 품질 보완 | |
1.0 | 2021.06.18 | 데이터 최초 개방 |
구축 목적
- 한국인의 얼굴 표정과 장소 맥락을 고려하여 인공지능이 사람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는 학습 모델 개발
활용 분야
- 감정분석을 통한 소비자의 만족도 측정, 감정기록을 통한 멘탈 헬스케어, 감정인식을 통한 감성 컴퓨팅(Affective Computing) 분야 등
소개
- 성별, 연령, 장소 등의 다양한 상황ㆍ맥락을 고려한 인공감성지능 학습모델을 구현하고, 각종 문화예술 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감정인식 서비스를 개발
구축 내용 및 제공 데이터량
- 원천 데이터 50만 건 (감정표현이 능숙한 전문 배우의 데이터 약 25만건, 일반인 데이터 약 25만건, 기쁨, 당황, 분노, 불안, 상처, 슬픔, 중립 감정을 균등분배)을 활용
- 3인의 어노테이터가 안면 이미지에 대한 바운딩박스 작업, 감정에 대한 판별, 장소에 대해 판별
- 모델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 감정의 참값(Ground Truth)을 이미지 게시자와 어노테이터의 보고된 감정상태를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설계
카테고리(종) | 이미지 개수(개) | 분포(%) |
---|---|---|
기쁨 | 70,735 | 14.47% |
당황 | 70,457 | 14.41% |
분노 | 68,835 | 14.08% |
불안 | 69,965 | 14.31% |
상처 | 70,103 | 14.34% |
슬픔 | 70,508 | 14.42% |
중립 | 68,173 | 13.94% |
평균 | 69,825 | 14.28 |
대표도면

필요성
- 현재 구글·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 등 기업과 학계에서는 사람의 얼굴 표정 데이터를 사용해 감정분석을 하는 인공지능은 연구 및 서비스하고 있으나, 개인·사회에 따라 감정을 신체로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기에 얼굴 표정이 감정을 표현한다고 전제하기 어렵다는 문제 제기도 존재함.
- 인간의 감정은 단지 표정에서만 추출하기 어려우며, 언어적·비언어적 행위와 해당 감정이 발현되는 장소·상황·맥락을 함께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인 것임.
- 또한, 기존에 구축된 감정인식을 위한 안면 데이터는 서구인을 중심으로 수집되었기 때문에, 한국인에 특화된 감정인식 데이터셋은 부족한 실정.
- 본 과제에서 구축한 한국인 감정인식 AI 데이터는 얼굴 표정뿐 아니라 장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감정 정보를 학습하기 적합해 종합적 정보를 통한 감정인식 기술 발달을 선도할 데이터로 활용될 것.
데이터 구조
- 데이터 구성
- 이미지 학습용 데이터의 원본 파일명에는 감정, 전문인/일반인 여부로 구별되며, 성별 및 연령대 정보는 ‘원본 파일명’ 과 일치하는 JSON 파일 형태로 구성
- JSON 파일과 이미지 데이터는 1:N 관계로, 하나의 JSON 파일 안에 모든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음 - 어노테이션 포맷
한국인 감정인식을 위한 복합 영상-데이터구조표-1 No 항목 길이 타입 필수여부 비고 한글명 영문명 1 성별 gender 1 String Y 2 나이대 age 3 Int Y 3 업로더 감정 정보 faceExp_uploader 10 String Y 4 업로더 배경 정보 bg_uploader 20 String Y 5 어노테이터 A bounding box 정보 faceBB_A 2 List Y boxes: [
maxX, maxY, minX, minY: 좌표값 /
label: 감정 정보
]
entireLabel: 배경 정보6 어노테이터 B bounding box 정보 faceBB_B 2 List Y 위와 동일 7 어노테이터 C bounding box 정보 faceBB_C 2 List Y 위와 동일
데이터셋 구축 담당자
수행기관(주관) : 한국과학기술원
책임자명 | 전화번호 | 대표이메일 | 담당업무 |
---|---|---|---|
박주용 | 042-350-2924 | juyongp@kaist.ac.kr | · 컨소시엄 운영 및 사업기획 · API 서버 및 웹 서비스 개발 |
수행기관(참여)
기관명 | 담당업무 | 기관명 | 담당업무 |
---|---|---|---|
메트릭스 리서치 | · 크라우드소싱 시스템 개발/운용 · 크라우드워커 모집 및 리워드 · 데이터 정제 및 가공 · 저작도구 개발 및 운용 |
데이터헌트 | · 어노테이션 툴 제공 · 데이터 가공/정제 |
소리자바 | · 감정인식 이미지 수집 · 이미지 분류/정제 |
액션파워 | · 감정인식 인공지능 모델 구축 및 학습, 테스트 |
리콘랩스 | · 감정인식 기반 모바일 앱 평가 서비스 개발 | 아트센터 나비 미술관 | · 감정인식 데이터셋을 활용한 앱 서비스 기획 · 심리 및 감정 상태를 파악하여 향후 심리치료 및 의료 서비스로서의 활용성 제시 |
※ 이 데이터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 등에 대해서는 개인정보 및 초상권의 이용 동의를 받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