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년 신규 개방되는 데이터로, 데이터 활용성 검토, 이용자 관점의 개선의견 수렴 등을 통해 수정/보완될 수 있으며 최종데이터, 샘플데이터, 산출물 등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변경이력
데이터 변경이력 버전 일자 변경내용 비고 1.0 2025-04-16 데이터 개방 Beta Version 데이터 히스토리
데이터 히스토리 일자 변경내용 비고 2025-04-16 산출물 전체 공개 소개
- 국가유산진흥원, 국립중앙박물관 등에서 제공한 데이터와 서울, 경기도에서 직접 활영한 원천유물데이터에서 건축, 문화재, 생활소품 등에 이용되는 한국 전통 문양 이미지 생성을 위한 초거대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 객체 및 문양 이미지 데이터 24,536장, 문양 이미지 데이터 24,536장, 한글 이미지 캡션 278,803 문장(2,726,576 어절), 영어 이미지 캡션 262,024 문장(3,737,512 어절) 구축
구축목적
- 건축, 문화재, 생활소품 등에 이용되는 한국 전통 문양 이미지 생성을 위한 초거대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하여, 한글 및 영문 텍스트 입력을 통한 한국 전통 문양 이미지 생성 - AI를 활용한 전통 문양 시제품 제작하고, 한국 전통 문양의 디지털화 및 문화적 정체성과 전통성 확보
-
메타데이터 구조표 데이터 영역 영상이미지 데이터 유형 이미지 데이터 형식 JPG 데이터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국가유산진흥원, 대가야박물관, 문화유산기술연구소, 한국문화정보원 등 보유 데이터 확보 - 국가유산진흥원의 촬영 장소 협조를 통해 직접 촬영 라벨링 유형 한국 전통 문양 이미지 캡셔닝 라벨링 형식 json 데이터 활용 서비스 - 전통 문양 생성 및 제품 디자인, 한국 전통 문양 교육 자료, 온라인 문양 라이브러리 및 가상체험 플랫폼, 문화재 복원 서비스에 활용 데이터 구축년도/
데이터 구축량2024년/- 객체 및 문양 이미지 데이터 24,536장, 문양 이미지 데이터 24,536장 - 한글 이미지 캡션 278,803 문장(2,726,576 어절) - 영어 이미지 캡션 262,024 문장(3,737,512 어절) -
○ 클래스별 데이터 구축 수량
클래스별 데이터 구축 수량 형태별 용도별 문양이 포함된 객체 문양 메타
데이터
형태별합계 원천데이터1 가공데이터1 원천데이터2 가공데이터2 세트 구성비 인물문 건축물 323 323 323 323 323 837 3.41% 문화재 23 23 23 23 23 생활소품 491 491 491 491 491 동물문 건축물 690 690 690 690 690 1,809 7.37% 문화재 12 12 12 12 12 생활소품 1,107 1,107 1,107 1,107 1,107 식물문 건축물 6,861 6,861 6,861 6,861 6,861 11,490 46.83% 문화재 34 34 34 34 34 생활소품 4,595 4,595 4,595 4,595 4,595 인공물문 건축물 836 836 836 836 836 1,161 4.73% 문화재 6 6 6 6 6 생활소품 319 319 319 319 319 자연 건축물 165 165 165 165 165 479 1.95% 산수문 문화재 1 1 1 1 1 생활소품 313 313 313 313 313 문자문 건축물 167 167 167 167 167 557 2.27% 문화재 0 0 0 0 0 생활소품 390 390 390 390 390 기하문 건축물 900 900 900 900 900 2,868 11.69% 문화재 19 19 19 19 19 생활소품 1,949 1,949 1,949 1,949 1,949 복합문 건축물 1,989 1,989 1,989 1,989 1,989 5,335 21.74% 문화재 62 62 62 62 62 생활소품 3,284 3,284 3,284 3,284 3,284 소계 건축물 11,931 11,931 11,931 11,931 11,931 문화재 157 157 157 157 157 생활소품 12,448 12,448 12,448 12,448 12,448 합계 24,536 24,536 24,536 24,536 24,536 24,536 100% ○ 문양 형태별 데이터 분포
문양 형태별 데이터 분포 형태별 세트 구성비 비고 인물문 837 3.41% 중첩률
56.77%동물문 1,809 7.37% 식물문 11,490 46.83% 인공물문 1,161 4.73% 자연산수문 479 1.95% 문자문 557 2.27% 기하문 2,868 11.69% 복합문 5,335 21.74% 합계 24,536 100.00% ○ 이미지 캡션 문장/어절 데이터 분포
이미지 캡션 문장/어절 데이터 분포 형태별 수량 비고 한글 캡션 문장 278,803 캡션 당 3문장 이상 영어 캡션 문장 262,024 캡션 당 3문장 이상 한글 캡션 어절 2,726,576 캡션 당 30어절 이상 영어 캡션 어절 3,737,512 캡션 당 30어절 이상 문양 용도별 분포
문양 용도별 분포 구분 수량 분포(%) 건축물 11,931 48.6 문화재 157 0.6 생활소품 12,448 50.7 합계 24,536 100 ○ 문양 재질별 분포
문양 재질별 분포 구분 수량 분포(%) 토제 10,170 41.45 도자기 5,108 20.82 나무 3,819 15.56 금속 2,740 11.17 석재 1,180 4.81 섬유 904 3.68 종이 227 0.93 귀석 208 0.85 골각 170 0.69 석제 8 0.03 가죽 2 0.01 합계 24,536 100 ○ 문양 시대별 분포
문양 시대별 분포 구분 수량 분포(%) 조선 7,833 31.92 삼국 7,407 30.19 근현대 5,353 21.82 고려 2,963 12.08 시대미상 934 3.81 선사 46 0.19 합계 24,536 100 ○ 문양 수집 방법별 분포
문양 수집 방법별 분포 구분 수량 분포(%) 문화포털 7,933 32.3 국립중앙박물관 5,006 20.4 국립경주박물관 4,154 16.9 국가유산진흥원 2,050 8.4 국립민속박물관 1,249 5.1 국립전주박물관 819 3.3 국립고궁박물관 418 1.7 국립춘천박물관 353 1.4 국립익산박물관 313 1.3 기타 2,241 9.1 합계 24,536 100 -
-
AI 모델 상세 설명서 다운로드
AI 모델 상세 설명서 다운로드 AI 모델 다운로드ㅇ임무 정의
- 한글 및 영문 텍스트 입력을 통한 한국 전통 문양이 그려진 건축물, 생활소품 등의 신규 2D이미지 생성ㅇ 임무 선정 사유
- Text To Image 방식의 대표적인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모델의 대표적인 방식으로 구축 전통문양의 이미지-텍스트 쌍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모델 구축
- 구축한 한국 전통 문양 이미지-텍스트 쌍 학습 데이터를 text to image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학습하고 한글 및 영문 텍스트 입력을 통해 한국 전통 문양이 그려진 신규 이미지 결과가 올바르게 생성되는지를 확인하여 구축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ㅇ학습 모델 개발 환경
- 학습 환경: CentOS, Python, Pytorch, GPU
- 모델리소스 및 자원 활용: 고성능 GPU 서버를 사용하여 모델 학습을 진행
- 모델 개발: 1-Cycle 자가 점검 계획에 맞춰 모델 개발
- 성능 지표 결과를 통해 가장 성능이 우수한 모델로 최종 선정ㅇ최종 선정 모델
- Bingsu/my-korean-stable-diffusion-v1-5
* Stable Diffusion 1.5 버전에 대해서 한국어 CLIP 모델을 사용하여 Diffusion 모델의 Tokenizer 와 Text Encoder를 대체한 모델
* Stable Diffusion 1.5 의 라이센스인 CreativeML Open RAIL-M을 따르는 오픈소스 모델로서 영어 및 한국어 처리를 위해 적합한 모델
* Hugging Face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가능[ my-korean-stable-diffusion-v1-5 모델 ]
* Stable Diffusion 모델
● 2022년 Stability AI에서 오픈소스 라이선스로 배포한 이미지 생성 모델
● Text2image은 물론 image2image, depth2img 등 이미지 처리와 관련된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음
● Creative ML OpenRAIL-M 라이선스에 따라 수정된 소프트웨어를 사용, 변경 및 재배포할 수 있음
● 모델의 접근성 및 사용성이 높기 때문에 인공지능 개발자 커뮤니티에서의 폭넓게 활용되고 있어 모델 활용성이 뛰어남[ Stable Diffusion 모델의 구조 ]
ㅇ학습 데이터 생성
- 학습 데이터 이미지 전처리
* 이미지 리사이징(512*512)
* 균등 패딩 적용
- 학습 데이터 포맷 변경 및 분할(9:1 로 분할)
* train – 전처리 이미지, metadata.jsonl
* test - 전처리 이미지, metadata.jsonl[ 학습데이터 생성 예시 ]
ㅇAI 모델 성능
AI 모델 성능 AI Task 알고리즘 데이터 수량 성능지표 목표치 평가결과 총 구축량 학습(90%) 평가(10%) 텍스트 기반 my-korean-stable-diffusion-v1-5 문양기준 24,536 건 캡션기준
132,494 건캡션기준
14,722 건CLIP Score 25 이상 25.22 이미지 생성 캡션기준 147,216 건 FID Score 38 이하 25.15 -
설명서 및 활용가이드 다운로드
데이터 설명서 다운로드 구축활용가이드 다운로드○ 라벨링데이터1(객체 및 문양 이미지 캡셔닝) 포멧
라벨링데이터 1(객체 및 문양 이미지 캡셔닝) 포멧 구분 속성명 타입 필수여부 설명 범위 예시 1 images object y 원천데이터 정보 1-1 object_file_name string y 원천데이터1 이름 SM_KC_0001_A1 1-2 pattern_file_name string y 원천데이터2 이름 SM_KC_0001_S1 1-3 format string y 포맷 jpg 1-4 object_img_resolution string y 원천1 이미지 해상도(너비, 높이) 3000, 2000 1-5 pattern_img_resolution string y 원천2 이미지 해상도(너비, 높이) 1684, 1652 1-6 collect string y 수집방법 이미지DB,직접촬영 이미지DB 1-7 photo_date string n 촬영일 2024-08-24 1-8 photo_equipment string n 촬영도구 DSLR 카메라 1-9 relic_name_kor string y 유물명(한글) 연꽃무늬수막새 1-10 relic_name_eng string y 유물명(영어) Yeonkkotmunuisumaksae 1-11 relic_common_ name_kor string n 일반유물명(한글) 수막새 1-12 relic_common_ name_eng string n 일반유물명(영어) Sumaksae 1-13 era_id string y SS(선사),SG(삼국),GR(고려),JS(조선),KH(근현대),UK(시대미상) SS,SG,GR,JS,KH,UK SG 1-14 era string y 시대명 선사,삼국,고려,조선,근현대,시대미상 삼국 1-15 pattern_usage_id string y KC:건축물, MH:문화재, SH:생활소품 KC,MH,SH KC 1-16 pattern_usage string y 문양 용도 건축물,문화재,생활소품 건축물 1-17 pattern_usage_detail string n 문양 용도 세부 종교용품 1-18 pattern_type_id string y IM(인물문),DM(동물문),SM(식물문),IG(인공물문),JY(자연산수문),MJ(문자문),GH(기하문),BH(복합문) IM,DM,SM,IG,JY,MJ,GH,BH SM 1-19 pattern_type string y 문양 형태 인물문,동물문,식물문,인공물문,자연산수문,문자문,기하문,복합문 식물문 1-20 pattern_type_detail_kor string n 문양 형태 세부(한글) 연꽃문 1-21 pattern_type_detail_eng string n 문양 형태 세부(영어) Lotus pattern 1-22 pattern_symbol string n 상징 의미 청정, 고결함 1-23 material string y 재질 토제 1-24 relic_no string y 유물 식별번호 PS000414 1-25 color string n 색상 토색 1-26 source string y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1-27 description string n 설명 연꽃무늬수막새는 전통적인 수막새로서 고유의 연꽃문 양식을 지니고 있으며, 건축물의 마감재로 사용됩니다. 이 문양은 청정과 고귀함을 상징하며, 건축적인 구조에 장식적인 가치를 더합니다. 토제의 자연스러운 색상을 통해 한국의 전통미를 강조합니다. 2 caption_kor object y 이미지캡션 한글 정보 2-1 context_kor string y 객체와 문양 맥락 정보 연꽃무늬수막새는 한국의 전통적인 수막새로, 토제로 제작되었습니다. 건축물의 마감재로 사용되며, 주로 지붕의 처마 끝 부분에 장식적으로 배치되곤 합니다. 이 수막새는 연꽃문 양식을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과 장식성을 건축물에 부여합니다. 2-2 function_kor string y 객체와 문양 기능 정보 수막새의 중앙에는 연꽃 문양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 문양은 건축적으로 장식적인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연꽃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건축물에 평화로움을 부여합니다. 연꽃 문양은 사용자의 마음에 정화와 조화를 전달하는 기능을 합니다. 2-3 description_kor string y 문양 묘사 정보 연꽃문 양식의 문양은 연꽃의 중심과 여덟 개의 꽃잎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꽃잎은 균형 있게 배열되어 있으며, 중앙의 작은 원들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연꽃의 씨앗이나 중심을 상징합니다. 이 문양은 연꽃이 피어난 모습을 나타내며 조화로운 아름다움을 제공합니다. 2-4 symbolism_kor string y 문양 맥락 정보 연꽃 문양은 한국 전통문화에서 청정과 고결함을 상징합니다. 이 토제 문양의 주된 색상은 자연 그대로의 흙빛이며, 연꽃의 이미지를 통해 정결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연꽃은 불교와 깊은 관련이 있어 내면의 정화와 깨달음을 나타내며, 고귀한 삶을 추구하는 정신적 가치를 표현합니다. 2-5 normal_kor string y 정보 통합 연꽃무늬수막새는 전통적인 수막새로서 고유의 연꽃문 양식을 지니고 있으며, 건축물의 마감재로 사용됩니다. 이 문양은 청정과 고귀함을 상징하며, 건축적인 구조에 장식적인 가치를 더합니다. 토제의 자연스러운 색상을 통해 한국의 전통미를 강조합니다. 2-6 keyword_kor string y 키워드 한국전통문화유산, 한국전통문양, 연꽃무늬수막새, 수막새, 식물문, 연꽃문양, 청정, 고결함 3 caption_eng object y 이미지캡션 영문 정보 3-1 context_eng string y 객체와 문양 맥락 정보 The Yeonkkotmunuisumaksae is a traditional Korean roof tile end-cap made of earthenware. It is used as a decorative element on the eaves of buildings. Through the lotus pattern, it adds natural beauty and ornamentation to architecture. 3-2 function_eng string y 객체와 문양 기능 정보 At the center of the roof tile end-cap is the lotus pattern. It serves both a decorative and symbolic function, imbuing the building with tranquility through the lotus's symbolic meanings. This pattern conveys purification and harmony to the viewer. 3-3 description_eng string y 문양 묘사 정보 The lotus-patterned design consists of a central lotus with eight petals. The petals are symmetrically arranged, with small circles at the center representing the seeds or core of the lotus. This pattern showcases the blossomed lotus, offering harmonious beauty. 3-4 symbolism_eng string y 문양 맥락 정보 The lotus pattern symbolizes purity and nobility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 main color of this earthenware design is its natural earth tone, conveying a sense of purity through the lotus image. Due to its Buddhist associations, the lotus denotes inner purification and enlightenment, representing the pursuit of noble spiritual values. 3-5 normal_eng string y 정보 통합 The Yeonkkotmunuisumaksae is a traditional roof tile end-cap with a distinctive lotus pattern used in architecture. The pattern symbolizes purity and nobility, adding ornamental value to the structural elements. The natural earthenware color emphasizes the aesthetic of Korean tradition. 3-6 keyword_eng string y 키워드 Korea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Yeonkkotmunuisumaksae, Sumaksae, Plant motif, Lotus pattern, Purity, Nobility ○ 라벨링데이터2(문양 이미지 캡셔닝)
라벨링데이터2(문양 이미지 캡셔닝) 포멧 구분 속성명 타입 필수여부 설명 범위 예시 1 caption_kor object y 이미지캡션 한글 정보 1-1 description_kor string y 문양 묘사 정보 연꽃문 양식의 문양은 연꽃의 중심과 여덟 개의 꽃잎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꽃잎은 균형 있게 배열되어 있으며, 중앙의 작은 원들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연꽃의 씨앗이나 중심을 상징합니다. 이 문양은 연꽃이 피어난 모습을 나타내며 조화로운 아름다움을 제공합니다. 1-2 symbolism_kor string y 문양 맥락 정보 연꽃 문양은 한국 전통문화에서 청정과 고결함을 상징합니다. 이 토제 문양의 주된 색상은 자연 그대로의 흙빛이며, 연꽃의 이미지를 통해 정결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연꽃은 불교와 깊은 관련이 있어 내면의 정화와 깨달음을 나타내며, 고귀한 삶을 추구하는 정신적 가치를 표현합니다. 1-3 keyword_kor string y 키워드 한국전통문화유산, 한국전통문양, 연꽃무늬수막새, 수막새, 식물문, 연꽃문양, 청정, 고결함 2 caption_eng object y 이미지캡션 영문 정보 2-1 description_eng string y 문양 묘사 정보 The lotus-patterned design consists of a central lotus with eight petals. The petals are symmetrically arranged, with small circles at the center representing the seeds or core of the lotus. This pattern showcases the blossomed lotus, offering harmonious beauty. 2-2 symbolism_eng string y 문양 맥락 정보 The lotus pattern symbolizes purity and nobility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 main color of this earthenware design is its natural earth tone, conveying a sense of purity through the lotus image. Due to its Buddhist associations, the lotus denotes inner purification and enlightenment, representing the pursuit of noble spiritual values. 2-3 keyword_eng string y 키워드 Korea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Yeonkkotmunuisumaksae, Sumaksae, Plant motif, Lotus pattern, Purity, Nobility ○ 메타 데이터
메타데이터 포멧 구분 속성명 타입 필수여부 설명 범위 예시 1 object_file_name string y 원천데이터1 이름 SM_KC_0001_A1 2 pattern_file_name string y 원천데이터2 이름 SM_KC_0001_S1 3 format string y 이미지 포맷 jpg 4 object_img_resolution number y 원천1 이미지 해상도(너비, 높이) 3000, 2000 5 pattern_img_resolution number y 원천2 이미지 해상도(너비, 높이) 1684, 1652 6 collect string y 수집방법(직접촬영, 이미지DB) 이미지DB,직접촬영 이미지DB 7 photo_date string n 촬영일 8 photo_equipment string n 촬영도구 9 relic_name_kor string y 유물명(한글) 연꽃무늬수막새 10 relic_name_eng string y 유물명(영어) Yeonkkotmunuisumaksae 11 relic_common_ name_kor string n 일반유물명(한글) 수막새 12 relic_common_ name_eng string n 일반유물명(영어) Sumaksae 13 era_id string y SS(선사),SG(삼국),GR(고려),JS(조선),KH(근현대),UK(시대미상) SS,SG,GR,JS,KH,UK SG 14 era string y 시대명 선사,삼국,고려,조선,근현대,시대미상 삼국 15 pattern_usage_id string y KC(건축물),MH(문화재),SH(생활소품) KC,MH,SH KC 16 pattern_usage string y 문양 용도 건축물,문화재,생활소품 건축물 17 pattern_usage_detail string n 문양 용도 세부 종교용품 18 pattern_type_id string y IM(인물문),DM(동물문),SM(식물문),IG(인공물문),JY(자연산수문),MJ(문자문),GH(기하문),BH(복합문) IM,DM,SM,IG,JY,MJ,GH,BH SM 19 pattern_type string y 문양 형태 인물문,동물문,식물문,인공물문,자연산수문,문자문,기하문,복합문 식물문 20 pattern_type_detail_kor string n 문양 형태 세부(한글) 연꽃문 21 pattern_type_detail_eng string n 문양 형태 세부(영어) Lotus pattern 22 pattern_symbol string n 상징 의미 청정, 고결함 23 year number n 제작 연도 953 24 material string y 재질 토제 25 relic_no string y 유물 식별번호 PS000414 26 color string n 색상 토색 27 source string y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28 description string n 설명 연꽃무늬수막새는 전통적인 수막새로서 고유의 연꽃문 양식을 지니고 있으며, 건축물의 마감재로 사용됩니다. 이 문양은 청정과 고귀함을 상징하며, 건축적인 구조에 장식적인 가치를 더합니다. 토제의 자연스러운 색상을 통해 한국의 전통미를 강조합니다. ○ json 예시(객체 및 문양 이미지 캡셔닝)
{
"images": {
"object_file_name": "MH_IG_0001_A1",
"pattern_file_name": "MH_IG_0001_S1",
"format": "jpg",
"object_img_resolution": "1080, 1080",
"pattern_img_resolution": "1080, 1080",
"collect": "이미지DB",
"photo_date": "",
"photo_equipment": "",
"relic_name_kor": "석탑",
"relic_name_eng": "stone pagoda",
"relic_common_name_kor": "",
"relic_common_name_eng": "",
"era_id": "GR",
"era": "고려",
"pattern_usage_id": "MH",
"pattern_usage": "문화재",
"pattern_usage_detail": "",
"pattern_type_id": "IG",
"pattern_type": "인공물문",
"pattern_type_detail_kor": "",
"pattern_type_detail_eng": "",
"pattern_symbol": "청정, 고결함",
"material": "석재",
"relic_no": "PS002058",
"color": "다자색",
"source": "국립부여박물관",
"description": "석탑라는 이름의 이 탑은 한국전통문화유산의 대표적인 사례로, 연꽃봉우리문을 통해 더 깊은 의미를 전달한다. 전통적인 건축물과 문화재에서의 의미 있는 사용 사례로,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엿볼 수 있다."
},
"caption_kor": {
"context_kor": "이 석재로 만들어진 탑은 석탑라는 고유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 탑은 주로 건축물의 일부분이거나 독립적인 구조물로 사용되며,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탑의 구조는 층이 겹쳐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function_kor": "탑의 상단에는 인공물문으로 분류된 연꽃봉우리문이 있다. 이 문양은 석탑의 중심에 위치해 있으며, 그 자체로 장식적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각 층의 결합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연꽃봉우리문은 종교적 의미와 함께 깨달음과 평화를 상징한다.",
"description_kor": "한국전통문양 중 하나인 연꽃봉우리문은 대칭적이고 반복적인 형태가 특징이다. 연꽃의 봉우리 부분이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이 문양은 중심부에 위치한 봉우리가 각 층의 모서리에 대칭적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대칭성과 정교함이 눈에 띄는 문양이다.",
"symbolism_kor": "이 연꽃봉우리문은 주로 회색의 석재에 표현되어 있으며, 석재의 질감 인으로 고풍스러운 멋을 자아낸다. 연꽃봉우리문은 불교적 상징으로 청정과 고결함을 나타내며, 깨달음을 통해 평화와 조화로운 삶을 지향하는 정신을 담고 있다.",
"normal_kor": "석탑라는 이름의 이 탑은 한국전통문화유산의 대표적인 사례로, 연꽃봉우리문을 통해 더 깊은 의미를 전달한다. 전통적인 건축물과 문화재에서의 의미 있는 사용 사례로,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엿볼 수 있다.",
"keyword_kor": "한국전통문화유산', '한국전통문양', '석탑', '탑', '인공물문', '연꽃봉우리문', '청정', '고결함'"
},
"caption_eng": {
"context_eng": "As a traditional Korean motif, the lotus bud pattern is characterized by its symmetrical and repetitive form. Delicately depicted, the apex of the lotus is symmetrically repeated at each corner of the layers. Symmetry and intricate detail define this motif.",
"function_eng": "Expressed primarily in gray stone, this lotus bud pattern exudes an antique charm with its texture. As a Buddhist symbol, it represents purity and nobility, embracing the spirit of achieving peace and harmony through enlightenment.",
"description_eng": "Named \"stone pagoda, Joseon Branch, Volume 4, Number 1,\" this pagoda stands as a prime exampl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conveying profound meaning through the lotus bud pattern. It offers a glimpse into Korean culture and history through its meaningful use i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cultural assets.",
"symbolism_eng": "Korea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Korean Traditional Motif', 'stone pagoda, Joseon Branch, Volume 4, Number 1', 'Pagoda', 'Artificial Pattern', 'Lotus Bud Pattern', 'Purity', 'Nobility'",
"normal_eng": "Named \"stone pagoda, Joseon Branch, Volume 4, Number 1,\" this pagoda stands as a prime exampl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conveying profound meaning through the lotus bud pattern. It offers a glimpse into Korean culture and history through its meaningful use i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cultural assets.",
"keyword_eng": "'Korea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Korean Traditional Pattern','stone pagoda','Joseon Branch','Volume 4','Number 1','Pagoda','Artificial Pattern','Lotus Bud Pattern','Purity'"
}
} -
데이터셋 구축 담당자
수행기관(주관) : 에이치씨아이플러스(주)
수행기관(주관) 책임자명 전화번호 대표이메일 담당업무 손익생 02-6925-0325 isson@hciplus.kr 사업총괄, 수집, 가공, 품질관리 수행기관(참여)
수행기관(참여) 기관명 담당업무 주식회사 리스트 수집, 정제, AI 모델 개발 ㈜문화유산기술연구소 수집 국가유산진흥원 수집, 시제품 제작, 홍보 데이터 관련 문의처
데이터 관련 문의처 담당자명 전화번호 이메일 김명준 02-6925-0325 mjkim@hciplus.kr 손익생 02-6925-0325 isson@hciplus.kr AI모델 관련 문의처
AI모델 관련 문의처 담당자명 전화번호 이메일 강혁 02-2632-5133 sohohuk@li-st.com 저작도구 관련 문의처
저작도구 관련 문의처 담당자명 전화번호 이메일 강혁 02-2632-5133 sohohuk@li-st.com
-
인터넷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온라인·오프라인 공간으로 의료 데이터를 포함하여 보안 조치가 요구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없이 접근하고 분석 가능
* 온라인 안심존 : 보안이 보장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집, 연구실, 사무실 등 어디서나 접속하여 데이터에 접근하고 분석
* 오프라인 안심존 : 추가적인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를 대상으로 지정된 물리적 공간에서만 접속하여 데이터에 접근하고 분석 -
- AI 허브 접속
신청자 - 안심존
사용신청신청자신청서류 제출* - 심사구축기관
- 승인구축기관
- 데이터 분석 활용신청자
- 분석모델반출신청자
- AI 허브 접속
-
1.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 결과 통지서 [IRB 알아보기] [공용IRB 심의신청 가이드라인]
2.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된 연구계획서
3. 신청자 소속 증빙 서류 (재직증명서, 재학증명서, 근로계약서 등 택1)
4. 안심존 이용 신청서 [다운로드]
5. 보안서약서 [다운로드]
※ 상기 신청서 및 첨부 서류를 완비한 후 신청을 진행하셔야 정상적으로 절차가 이루어집니다. -
신청 및 이용관련 문의는 safezone1@aihub.kr 또는 02-525-7708, 7709로 문의
데이터셋 다운로드 승인이 완료 된 후 API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PI 다운로드 파일은 분할 압축되어 다운로드 됩니다. 분할 압축 해제를 위해서는 분할 압축 파일들의 병합이 필요하며 리눅스 명령어 사용이 필요합니다.
리눅스 OS 계열에서 다운로드 받으시길 권장하며 윈도우에서 파일 다운로드 시 wsl(리눅스용 윈도우 하위 시스템) 설치가 필요합니다.
※ 파일 병합 리눅스 명령어
find "폴더경로" -name "파일명.zip.part*" -print0 | sort -zt'.' -k2V | xargs -0 cat > "파일명.zip"
- 해당 명령어 실행 시, 실행 경로 위치에 병합 압축 파일이 생성됩니다.
- 병합된 파일 용량이 0일 경우, 제대로 병합이 되지 않은 상태이니 "폴더경로"가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데이터셋 소개 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버튼 클릭하여 승인이 필요합니다.
오프라인 데이터 이용 안내
본 데이터는 K-ICT 빅데이터센터에서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데이터(미개방 데이터 포함)를 분석할 수 있는 오프라인 분석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안심구역 이용절차 및 신청은 K-ICT빅데이터센터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방데이터 개방 안내
본 데이터는 국방데이터로 군사 보안에 따라 AI허브에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으며,
군 담당자를 통한 별도의 사용 신청이 필요합니다.